교대근무일지

교대근무,생산직)3조2교대,4조2교대,5조3교대 교대근무 근무방식에 대하여

김생산 2019. 5. 21. 13:32
반응형

 

 

안녕하세요 김생산입니다.
오늘은 교대근무의 근무방식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해당 게시글은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니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먼저 저는 현재 3조 2교대 근무를 서고 있습니다. 4조 2교대, 5조 3교대는 제가 직접 경험한 바가 아닌 현직 실무자인 지인들에게 들은 이야기로 설명해보겠습니다 그래서 정답은 아닙니다 저도 카더라 통신입니다 일단 조가 많을수록 사원이 많아야 하고 사원이 많으면은 큰 기업일 확률이 더 높아집니다. 단순하게만 생각하면은 조가 많을수록 좋다고 할 수도 있겠네요 물론 장단점은 다 있겠지만요 :)

오늘도 발퀄 그림과 함께합니다.

3조 2교대
3개의 조가 하루에 2번 교대를 합니다. 24시간에 중 두 번 교대하니 12시간씩 근무의 방식이며 다른 글에서도 포스팅했지만 근무는 주주주주 휴휴 야야야야의 주간 휴무 야간의 반복의 근무방식입니다. 사실 모든 교대근무가 전부 무한 반복이죠 워라벨은.. 글쎄요 본인이 하기 나름인 거 같습니다. 저희 회사는 8시가 교대시간입니다. 아침 8시 저녁 20시겠죠? 주간 마지막 날부터 쉰다고 치면은 2.5일가량 쉬기 때문에 여행을 다녀 올 수도 있고 시간 짧은 시간이 아니기에 연차 하루라도 붙인다면 시간 활용할 방법이 많습니다 대신 야간일 때는 마지막 날 20시부터 근무를 시작하여 아침 8시에 퇴근했을 때부터 휴무이기 때문에 사실상 1.5일 쉬고 다시 출근해야 한다고 봐야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좋고 싫고도 없고 그냥저냥 다니는 거 같습니다

4조 2교대
4개의 조가 하루에 2번씩 교대합니다. 12시간 근무인 건 마찬가지이나 근무 형태는 주주 휴휴 야야 2일 일하고 2일 쉽니다. 30일인 한 달에 15일 근무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딱 절반 일합니다. 쉬는 날이 보다 많기에 만족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15일이라는 근무일수가 한 달에서 많지가 않기에 급여가 적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 부분은 다른 조의 연차 처리 등에 대근을 뛰어서 많이들 메운다고 합니다. 대근을 할시에는 추가 수당도 붙으니까요 개인적으로 저도 가장 근무하고 싶은 교대근무 방식입니다.

5조3교대
5개의 조가 하루에 3번씩 교대합니다. 24시간에 3번 교대면은 하루 8시간 근무겠죠? 일반 사무직과 같은 근무시간입니다. 다른 점은 야간근무에 투입된다는 점, 교대 날짜에 따라서 주말에도 출근을 해야 한다는 거 정도겠네요 8시간 근무 일단 조가 5개나 되기 때문에 연차 처리 시 대근을 구해야 할 상황에는 대근을 나올 사람이 많고 8시간이라는 근무 시간 덕분에 나름대로의 워라벨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머기업 공장들이 5조 3교대를 많이 하고 있기에 머기업 공장들은 대체로 3교대 근무가 많은 거 같습니다 중소기업은 웁니다 광광.. 사실 5조 3교대에 관해서는 제가 많이 알고 있는 정보가 없어서 더 할 말이 없네요

2조2교대
요즘도 있나요? 7일 중 6일 하고 하루 쉬는 지옥의 교대근무가 주 52시간 근무제 때문에 있을 수 있나 싶네요 주변에 2조 2교대 하는 사람이 없어서 이거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외에도 더 많은 교대근무방식이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몇 가지만 적어봤습니다. 많이 연차가 쌓이고 업무능력을 인정받으면 PLC(상황실 비슷한 곳)나 사무직으로 전향할 수도 있으나 개인적으로 저는 목돈 마련한다는 생각으로 다니고 있기에 애사심이 대단하지도 않기에 마음을 비우고 다녀서 회사생활에 대한 걱정은 없고 힘들 때만 투덜투덜 거리며 다니고 있습니다. 물론 제가 대기업 생산직에 재직 중이었다면 생각이 아니었을 수도 있겠죠ㅠ? 항상 중소기업 생산직 여러분들 파이팅입니다. 대기업 형님들도 파이팅 ^오^

반응형